제4차 라떼란 공의희 ▲ 인노첸시오 3세 교황이 이탈리아 수비아코 베네딕도 수도원에 준 증여 문서. 교황은 제4차 라테라노 공의회에서 수도회 개혁과 쇄신을 위해 3년에 한 번씩 총회를 열도록 규정했다. 출처=한국가톨릭대사전 시기 : 1215년 11월 11-30일 교황 인노첸시오 3세가 소집한 제12차 세계 공의회 배.. 가톨릭 교회 교리/공의회 역사 2016.03.05
제3차 라떼란 공의회 ▲ 제3차 라테라노 공의회가 열린 라테라노 대성전의 압시드(중앙 제단 뒤에 반 원형으로 들어간 부분)의 모자이크 화. 이 모자이크는 13세기에 제작됐다. 시기 : 1179년 3월 15일 ∼ 19/22일 동안 알렉산델 3세가 소집한 제11차 세계 공의회 배경 1159년 알렉산델 3세 교황(1159-1181)의 선거에 뒤이.. 가톨릭 교회 교리/공의회 역사 2016.03.05
제2차 라떼란 공의회 ▲ 로마에 있는 성 라테라노 대성전 전경. 시기 : 1139년 3월 4-9일 동안 교황 인노첸시오 2세가 소집한 제10차 세계공의회 배경 이 공의회가 개최되기 전 1130년 교황 선거에서 인노첸시오 2세와 아나글레토 2세가 이중으로 선출되자 분열·대립하는 일이 발생하였는데, 이 일은 결국 1138년에 .. 가톨릭 교회 교리/공의회 역사 2016.03.05
제1차 라떼란 공의회 ▲ 제1차 라테라노 공의회가 열린 로마 요한 라테라노 대성전. 옛 성전은 화재로 없어지고 지금 모습은 후대에 재건된 것이다. 시기 : 교황 갈리스도 2세가 1123년 사순절(3. 18-4. 6)기간 동안 소집한 제9차 공의회 배경 보름스 정교조약(1122. 9. 23)으로 성직 서임권 논쟁을 종결지은 갈리스도 2.. 가톨릭 교회 교리/공의회 역사 2016.03.05
제4차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시 기 : 하드리아노 2세 교황 (867-872) 869. 10. 5 ∼ 870. 2. 28 10회 배 경 포시우스에 대한 논쟁 동로마 황제 바르다스의 불륜에 대한 이냐시오 총대주교와의 분쟁으로 인하여 황제가 이냐시오를 추방하고, 대신 포시우스를 선임하였다. 단순한 독신의 신자였던 포시우스는 단시일에 성직품을 .. 가톨릭 교회 교리/공의회 역사 2016.03.05
제2차 니체아 공의회 ▲ 니케아 성 소피아 성당에서 개최된 제2차 니케아 공의회 모습. 가톨릭대사전 자료사진 시 기 : 하드리아노 1세 교황(772-795) 787. 9. 24 ∼ 10. 23 배 경 성화상 논쟁 성화상 존경에 대한 반대자인 황제와 성화상 존경의 옹호자인 교황과의 대립 726년 레오 3세 황제의 성화상 존경을 금하는 칙.. 가톨릭 교회 교리/공의회 역사 2016.03.05
제3차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 단의설로 시끄러웠던 7세기 초중반 교황들. 왼쪽부터 호노리오 1세(재위 625~638)ㆍ세베리노(640)ㆍ요한 4세(640~642)ㆍ테오도로 1세(재위 642~649) 교황. 시기 : 아가톤 교황(678-681), 레오 2세 교황(682-683), 680. 11. 7∼681. 9. 16 (16회) 배경 그리스도 단의론에 의한 분쟁 그리스도 단의론자인 콘스탄.. 가톨릭 교회 교리/공의회 역사 2016.03.05
제2차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가 열린 성 소피아 성당 내부 기간 : 553년 5월 5일 ∼ 6월 2일 / 비질리우스 교황 배경 그리스도의 단성설을 주장하는 유티케스파는 칼체돈 공의회가 테오도레투스의저서, 이바스의 편지, 테오도루스의 저작을 확실히 단죄하지 않았음을 구실로 공의회의 .. 가톨릭 교회 교리/공의회 역사 2016.03.05
칼체돈 공의회 ▲ 칼케돈 공의회는 에우티케스의 단성설을 단죄하고 '한 위격 안의 두 본성'에 관한 교리 정식을 확정했다. 사진은 미국 미주리 주 컨셉션 수도원 대성당에 있는 19세기 벽화 '예수 탄생.' 기 간 : 4541. 10. 8 - 11. 1, 17회 / 대 레오 교황(440-461) 배경 에우티케스는 네스토리우스주의를 단죄한 .. 가톨릭 교회 교리/공의회 역사 2016.03.05
에페소 공의회 ▲ 431년 에페소 공의회가 열렸던 에페소 성모마리아 대성당 유적. 기 간 : 431. 6. 22 - 7. 17, 5회(회의) / 첼레스티노 1세 교황(422-432) 배 경 니체아 공의회(325)와 콘스탄티노플 공의회를 통하여 삼위 일체론이 신학적으로 규명되자, 교의사의 초점이 그리스도론에 집중된다. 당시 교의 신학의 .. 가톨릭 교회 교리/공의회 역사 2016.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