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회 교리 184

[스크랩] [예비신자 교리] 14과. 성부 . 성자 . 성령(삼위일체)

【 14과. 성부. 성자. 성령(삼위일체) 】 ◎ 삼위일체란(三位一體)? 삼위일체의 신비는 하느님 자신에 관한 신비이다. 삼위일체는 한분이신 하느님을 믿는 것이며, 세 위(位)로 구별된다. 성부는 창조주이시고, 성자는 구원자이시며, 성령은 성화하는 일을 하신다. 성자는 성부에게서 낳으심을 받으셨고 ..

[스크랩] [예비신자 교리] 13과. 성령을 믿나이다

【 13과. 성령을 믿나이다 】 ◎ 하느님의 성령 성령은 하느님의 일을 집행하시는 역할을 하시는 분으로서 물질과 정신 의 모든 영역에서 활동하신다. 하느님께서는 말씀과 성령을 통하여 우리를 창조하셨고 보존하고 계신다. 성령을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가 어떤 분이신지 깨달을 수 있고, 그리스도 ..

[스크랩] [예비신자 교리] 12과. 예수님의 부활과 승천

【 12과. 예수님의 부활과 승천 】 ◎ 생(生)의 전환점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시자 제자들마저도 예수님께서 왜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셔야 했는지 깨닫지 못하였다. 모든 것이 끝난 것으로 알았으나 부활하신 예수님을 뵙고 너무 기뻐 어 쩔 줄 몰라 하였다. 주님이 돌아가신 후 낙담한..

[스크랩] [예비신자 교리] 11과. 예수님의 죽으심(신약)

【 11과. 예수님의 죽으심(신약) 】 ◎ 세상은 예수님을 맞아들이지 않았다. 예수님께서는 공생활을 통해 구원의 기쁜 소식(복음)을 전해주었을 뿐만 아니라 수많은 기적을 통해 병자를 치유해 주셨다. “보라, 저자는 먹보요 술꾼이며 세리와 죄인들의 친구다.”(마태 11,19) 하고 말하면서 일부 유다인 ..

[스크랩] [예비신자 교리] 10과. 예수님의 공생활(신약)

♣ 예비신자 교리 ♣ 【 10과. 예수님의 공생활(신약) 】 ◎ 갈릴레아의 예수 예수께서는 공생활을 갈릴레아 지방에서 시작하셨고, 대부분을 이 지역 에서 보내셨다. 예수께서는 갈릴레아의 나자렛 출신이라는 이유로 출신 성분의 비천함을 지적받는다. 그러나 예수께서는 ‘때가 왔으니 회개하고 하..

[스크랩] [예비신자 교리] 9과. 소외된 이들의 벗(신약)

♣ 예비신자 교리 ♣ 【 9과. 소외된 이들의 벗(신약) 】 ◎ 예수의 첫 번째 관심 예수께서는 서기 30년 경 팔레스티나에서 공생활(公生活)을 시작하신다. 공생활이란 예수께서 당신이 누구이신가를 세상에 드러내시며 하느님의 일을 시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분의 활동은 ‘하느님의 나라가 다가왔..

[스크랩] [예비신자 교리] 8과. 그리스도를 믿나이다.(신약)

♣ 예비신자 교리 ♣ 【 8과. 그리스도를 믿나이다.(신약) 】 ◎ 하느님의 아들이 사람이 되시다. 기원전 4년 경, 유다지방의 작은 고을 베들레헴에서 구약의 예언이 성취되는 뜻 깊은 밤을 맞이했다. “ 보아라, 동정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임마누엘 이라고 하리라.”(마태, 1,23) ◎ ..

[스크랩] [예비신자 교리] 7과. “성경”이란 무엇인가?

♣ 예비신자 교리 ♣ 【 7과. “성경”이란 무엇인가? 】 성경이란 한마디로 하느님과 인간과의 관계의 기록이다. 하느님은 여러 민족 중에 히브리 민족을 선택하셔서 ‘관계(계약)’을 맺으시고 인류의 구원을 약속하셨다. 성경은 하느님께서 이스라엘 민족이 고백한 신앙을 두 부분으로 이루어 놓은..

[스크랩] [예비신자 교리] 6과. 약속의 땅에서 (구약)

♣ 예비신자 교리 ♣ 【 6과. 약속의 땅에서 (구약) 】 이스라엘 백성은 홍해를 건넌 후, 40년 동안 광야생활을 하게 된다. 하느님께서 약속해 주신 가나안 땅으로 들어가기 전, 사막생활을 하며 시련과 갈등의 시간을 보낸다. 이 기간을 통해 하느님은 그들을 해방시켜 준 당신께 온전한 신뢰심을 갖고 ..

[스크랩] [예비신자 교리] 5과. 구원자이신 하느님(구약)

♣ 예비신자 교리 ♣ 【 5과. 구원자이신 하느님(구약) 】 ◎ 선택된 백성 안에서의 하느님의 구원 역사 아브라함이 하느님의 부르심을 받고 ‘가나안 땅’으로 이주한 시기가 기원전 1800년대이다. 하느님과 히브리 민족과의 ‘계약’관계가 서서히 형성되고, 유목민인 히브리 백성들은 심한 기근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