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8월 14일 수요일 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사제 순교자 기념일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성인은 1894년 폴란드의 즈둔스카볼라에서 태어났다. 14세 때 꼰벤뚜알 프란치스코 수도회에 입회한 그는 1917년 성모 신심 단체인 ‘성모의 기사회’를 설립하였다. 이듬해 로마에서 사제품을 받은 콜베 신부는 평생을 선교사로 살아가다가 독일의 폴란드 침공 때 체포되어 아우슈비츠 수용소에 갇혔다.
여기서 한 수감자가 탈출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수용소에서는 한 명이 탈출하면 열 명을 지목하여 처형하는 벌이 있었다. 지목된 열 명 중 한 사람이 자기에게는 가족이 있다며 울부짖자 콜베 신부는 그 사람을 대신하겠다며 앞으로 걸어 나갔다. 결국 콜베 신부는 다른 아홉 명과 함께 굶겨 죽이는 아사 형벌을 받고 처절한 옥중 생활을 하다가 1941년 지하 감방에서 선종하였다. 이러한 그를 1982년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은 ‘자비의 순교자’라 부르며 시성하였다.
오늘 복음은 ‘나’에게 죄를 지은 형제를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에 대한 가르침입니다. 예수님께서는 그 사람을 함부로 단죄할 것이 아니라 몇 단계의 신중한 처신을 요구하십니다.
첫 번째는 죄를 지은 형제와 단둘이 만나 그를 타이르라고 하십니다. 만일 이 단계가 없다면 죄지은 이가 자신의 잘못도 깨닫지 못한 채 죄인으로 다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로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으면 분별 있는 한두 사람을 데리고 가서 다시 그 죄에 대하여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이끌어 주어야 한다고 하십니다. 세 번째로는, 두 번의 타이름으로도 그가 잘못을 인정하지 않으면 여러 사람 앞에서 잘잘못을 따지라고 하십니다. 그 사람이 객관적으로 자신의 행동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이끌라는 말씀입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세 단계를 거치고도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으면 그를 더 이상 형제로 받아들이지 말라고 하십니다.
이처럼 예수님께서는 어떤 사람이 ‘나’에게 잘못했을 때 처음부터 그를 단죄하지 않기를 바라십니다. 그런데 우리는 흔히 이러한 단계를 생략한 채 처음부터 여러 사람 앞에서 그 사람의 행동을 고발하고 그를 단죄합니다. 또는 자신에게 죄지은 형제와 단둘이 만나서 이야기는 전혀 하지도 않으면서 마음속으로 미워하기만 하거나, 다른 사람들 앞에서 그 사람에 대하여 뒷소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말라.’는 격언이 있습니다. 죄지은 사람을 끝까지 사랑하려면 그의 잘못을 깨우쳐 주어야 합니다. 그러나 깨우쳐 줄 때에도 상대편의 인격을 존중하며 신중하게 처신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