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북방선교 이야기 237

[대한민국 제1호] 펀드

70년 '안정성장 1월호' 출시, 가입자 장사진 지금으로부터 40년 전 어느 봄날 오후. 서울 을지로 쌍용빌딩 9층에 사람들이 몰려들기 시작했다. 당시 국내에서 유일하게 투자신탁업무를 할 수 있었던 ‘한국투자개발공사’가 국내 최초로 출시한 펀드상품에 가입하려는 사람들이었다. 한국투자공사 설립..

[대한민국 제1호] 1970년대 금액표시상품권 본격화

대한민국 상업사(史)에서 상품권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61년 12월 27일, 정부가 대량 소비 촉진책의 하나로 '상품권법'을 제정하면서부터다. 초기의 상품권은 대부분 지정된 물품만 살 수 있는 '물품표시 상품권'이었다. 상품권 전면에 '백미 10㎏'과 같은 식으로 표기돼 있었다. 물품 표시 상품권으로는 ..

[대한민국 제1호] 국산 텔레비전

최악의 여론 속에 태어난 흑백 TV 1호 국내에서 처음으로 TV 생산이 추진된 것은 1963년 무렵이다. 1961년 12월 국영 KBS TV가 개국한 지 1년여 뒤다. 당시 정부는 TV 수상기 보급을 확대해 경제개발계획을 홍보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금성사(현 LG전자)에 TV 생산을 권고했다. 이때까지 국내엔 미국·일본에서 ..

[대한민국 제1호] 휴대폰

삼성전자, 1988년 첫 개발… 무게 700g 22년 전 우리나라 업체가 처음으로 만든 휴대폰은 요즘 시각으로 보면 '휴대폰'이라고 부르기도 민망할 정도였다. 삼성전자가 1988년 처음 개발한 'SH-100'<왼쪽 사진>이라는 휴대폰은 길이가 요즘의 두 배가 넘는 20㎝였고, 무게는 6배 가까운 0.7㎏이었다. 한 손으..

[대한민국 제1호] 국산 미사일

78년 '백곰' 발사 성공… 실전 배치는 못해 "유도탄 개발. 사거리 200㎞ 내외." 1971년 12월 청와대비서실에 박정희 대통령의 친필 '극비' 메모가 전달됐다. 비밀 프로젝트는 '항공 공업 사업'이라는 위장 명칭으로 불렸다. 박 대통령은 "단거리 미사일은 수입해서 쓰면 된다. 중·장거리를 개발하라"고도 지..

[대한민국 제1호] PC

81년 삼보엔지니어링이 SE-8001 개발 국내에서 공식 업무에 사용된 최초의 컴퓨터는 1967년 경제기획원 통계국이 인구조사 분석을 위해 미국 IBM에서 수입한 'IBM 1401'이다. 거의 같은 시기에 생산성본부도 일본 후지쓰의 '파콤222'를 도입했다. 이후 정부기관과 기업을 중심으로 업무용 컴퓨터가 잇달아 도..

[대한민국 제1호] 국산 자동차

'시발契'까지 만들게 했던 手製 시발 자동차 "제날짜에 차를 받지 못한 사람들이 회사 사무실로 몰려와 소란을 피웠고, 공급이 부족해 차 값이 오르자 부유층 부인들은 '시발 계(契)'까지 만들었다." (김은신 엮음, '이것이 한국 최초') 전쟁 직후인 1955년 서울 종로에 있던 한 사무실은 손님과 구경꾼이 ..

[대한민국 제1호] 훈장

이승만 前 대통령 재임 중 훈장 1호 받아 "무궁화대훈장령이 8월 13일부 대통령령 184호로 공포되었다. 동 훈장령에 의하면 무궁화대훈장은 우리나라 최고훈장으로서 대통령이 이를 패용할 수 있으며, 또 우방 원수에게도 수여할 수 있다." 〈1949년 8월 15일자 조선일보 2면〉 대한민국 최고 훈장은 1949년 ..

[대한민국 제1호] 지폐

6·25전쟁 중 연합군 도움으로 日서 찍어 대한민국 1호 지폐는 6·25 전쟁 와중에 세상의 빛을 봤다. 우리나라의 유일한 법정 화폐인 한국은행권을 발행하는 한국은행은 1950년 6월 12일 설립됐다. 하지만 지폐를 발행해 보지도 못한 채 창립 13일 만에 6·25 전쟁을 맞았다. 그 당시 우리나라 시중에서는 일..

[대한민국 제1호] 우표

비둘기 무궁화로 장식된 정부수립 기념우표 "각국과 통상을 한 이후로 안팎으로 관계되는 일이 날로 증가하고 나라의 무역에 대한 소식이 그에 따라서 늘어나고 있다.(중략) 그래서 우정총국(郵征總局)을 설립하도록 명하니…."(고종실록) 우리나라 근대우편의 시작은 1884년 4월 22일 고종이 이 같은 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