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북방선교 이야기 237

[연길교구 설정 80돌 특별기획] 연길 5000㎞ 대장정(6) 대령동, 차조구본당

2008. 07. 13발행 [978호] 10개 공소 거느렸던 본당은 아스라이 "나는 봇나무/한 그루의 깨끗한 봇나무/겨레의 족속으로 태여난/하아얀 아들이다."(김파 시인의 '나는 봇나무'에서)  '덥석 껴안으면 한 방울 눈물로 흐를' 백두산으로 향하는 길엔 봇나무('자작나무'의 북녘 사투리)가 장관을 이룬다. 백두를 ..

[연길교구 설정 80돌 특별기획] 연길 5000㎞ 대장정(5) 팔도구본당

2008. 07. 06발행 [977호] 박해에도 지지않는 신앙, 연변전역으로 ▲ 팔도구본당 위치도 ▲ 지난 5월 8일 오후 평일미사를 봉헌한 뒤 성당을 나와 손을 흔들어 주는 연길본당 팔도구공소 공동체 할머니들 얼굴 표정이 무척 해맑다. ▲ 1937년 10월 해성학교 운동회에서 성 베네딕도회 수사들이 악단을 이뤄 합..

[연길교구 설정 80돌 특별기획] 연길 5000㎞ 대장정(4) 삼도구, 두도구본당, 화룡본당, 남평수용소

2008. 06. 22발행 [975호] 척박한 신앙의 땅에 교육사업으로 선교 꽃피우다 ▲ 삼도구,두도구본당 위치도 ▲ 옛 두도구성당과 해성학교가 자리했던 신흥소학교. 운동장 맞은편 백양나무 오른쪽에 성당이 위치했고, 해성학교는 앞쪽에 있었다. [전대식 기자 jfaco@pbc.co.kr] ▲ 옛 삼도구성당의 터전은 현재 농..

[연길교구 설정 80돌 특별기획] 연길 5000㎞ 대장정(3) 대교동공소와 용정본당

2008. 06. 15발행 [974호] 간도복음화 꽃피운 현장은 공원으로 ▲ 현 용정시 지신진 신화촌에 자리한 대교동공소터. 앞쪽 파란 기와집과 오른쪽 기와집 한 채 사이에 대교동공소가 자리했으며, 오른쪽 기와집 기와는 허문 공소 기와를 다시 재활용했다고 한다. ▲ 용정본당과 용정상시본당이 연이어 위치했..

[연길교구 설정 80돌 특별기획] 연길 5000㎞ 대장정(2) 개산둔→대랍자본당

2008. 06. 08발행 [973호] 간도땅에 뿌려진 첫 복음 씨앗을 찾아 간도의 사도 김영렬 첫 선교 시작한 호천포 개산둔공소, 신앙 명맥 유지 신자 30여명 간도 첫 본당 삼원봉본당이 대랍자본당으로 문화혁명으로 파괴, 현재 신자 10명 공동체 ▲ 연길교구 삼원봉,대랍자본당 위치도 ▲ 서로 1~2㎞ 남짓 떨어져 있..

[연길교구 설정 80돌 특별기획] 연길 5000㎞ 대장정(1)

2008. 06. 01발행 [972호] 옛 영광 재현 향한 새로운 복음화 꿈꾸다 ▲ '간도의 로마'로 불리는 팔도구 주민들의 신앙적 자부심은 대단히 강하다. 마침 성당에서 평일미사를 마치고 골목을 내려오는 할머니들을 만나 그 푸근하고 환한 표정을 포착할 수 있었다. ▲ 연변대 과학기술대에서 바라본 연길시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