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호] 1983년 첫 간염백신, 그건 기적이었다 1983년 6월 23일, '간 박사'로 유명한 전(前) 서울대 의대 내과 김정용 교수와 제약회사 녹십자 연구진은 대한민국 백신 제1호를 들고 기쁨의 눈물을 흘렸다. 순수 국내 기술과 시설로 국내 최초 B형 간염백신 '헤파박스B'가 탄생한 것이다. 미국 제약회사 MSD사와 프랑스 파스퇴르사에 이은 세계 3번째이다... 중국과 북방선교 이야기/대한민국 1호 사건,사고 2011.01.04
[대한민국 제1호] 단일 품목 1억달러 수출 1호는 선박 1964년 12월 2일 김정렴 당시 상공부 차관이 떨리는 목소리로 기자들 앞에 섰다. "우리가 염원하던 자립 경제의 확립과 경제 발전의 역사적 기점이 마련됐습니다." 이틀 전인 11월 30일 한국의 수출액이 사상 처음 1억달러를 돌파했다. '무역의 날'은 이날을 기념해 제정됐다. 정부는 수출 목표(1964년 1억2000.. 중국과 북방선교 이야기/대한민국 1호 사건,사고 2011.01.04
[대한민국 제1호] 남북 간 첫 공식회담은 1971년 적십자접촉 1971년 8월 20일 정오 판문점 중립국감독위원회 회의실. 남북 적십자사 요원 4명(남북 2명씩)이 총을 들지 않고 악수를 나눴다. 우리측에선 이창렬·윤여훈, 북측에선 서성철·염종련이 첫 남북 적십자회담 개최를 위한 1차 파견원 접촉에 나섰다. 1948년 분단국이 된 이후 남북 대화 테이블에 마주 앉은 첫.. 중국과 북방선교 이야기/대한민국 1호 사건,사고 2011.01.04
[대한민국 제1호] 첫 대외원조…1965년 개도국 연수생 교육 1948년 건국 이후 외국 원조만 받던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를 돕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외교부 당국자는 "1965년 정부가 우리 자금으로 개발도상국 연수생을 초청·교육한 사업을 '대외원조 1호'로 꼽는다"고 밝혔다. 1963년 미국 국제개발처(AID) 자금을 받아 개발도상국 연수생을 훈련.. 중국과 북방선교 이야기/대한민국 1호 사건,사고 2011.01.04
[대한민국 제1호] '소년척후대', 스카우트의 원조 "군인 같은 생활을 하는 것 같지만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어린아이나 부인이 위험한 일을 당해 자기 힘으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경우를 볼 때 속히 가서 그것을 구제하고 그 밖에도 무슨 일이든 사회의 유익한 일이면 하도록 주선해 주는 것입니다." 이만큼 '보이스카우트'를 쉽게 설명한 글이 또 있.. 중국과 북방선교 이야기/대한민국 1호 사건,사고 2011.01.04
[대한민국 제1호] 국내증시 전산거래 1979년 도입 지난 7월 한국거래소는 라오스 정부와 각각 49%, 51%씩 지분을 출자해 라오스 증권거래소를 설립하는 데 합의했다. 증권시장이 없는 라오스에 증권 거래를 위한 IT시스템과 제도를 이전해 주는 내용이다. 지난 3월엔 캄보디아와도 비슷한 계약을 맺었고 2000년 베트남 호찌민증권거래소가 설립될 때도 적.. 중국과 북방선교 이야기/대한민국 1호 사건,사고 2011.01.04
[대한민국 제1호] 1966년 약탈 문화재 일본서 첫 환수 1966년 5월 27일 일본이 약탈해 간 우리 문화재가 김포공항을 통해 돌아왔다. 도자기·석조미술품·고문서 등 모두 1326점이나 됐다. 1905년 을사늑약 이후 일제 강점기 동안 수탈당한 문화재들이 해방 21년 만에 돌아온 것이다. 최순우 당시 국립박물관 미술과장이 실무적인 문화재 감정과 조사를 맡았다... 중국과 북방선교 이야기/대한민국 1호 사건,사고 2011.01.04
[대한민국 제1호] "인재를 키우자"… 1949년 국비유학 보내 "1949년 8월 30일 마침내 미국행 비행기에 올랐다. 비행기가 제때 뜨지 않아 6개월이나 마음 졸이며 기다린 후였다. 여의도비행장에서 비행기에 오를 땐 대한민국 모든 이들이 우리를 부러워하는 듯했다."(심종섭 박사) 정부수립 해인 1948년 가을, 문교부(현 교육과학기술부)는 대한민국 최초 국비유학생 .. 중국과 북방선교 이야기/대한민국 1호 사건,사고 2011.01.04
[대한민국 제1호] 1962년 첫 산아(産兒)제한 정책 "덮어놓고 낳다 보면 거지꼴을 못 면한다." 1962년 보건사회부(현 보건복지가족부)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최초로 산아제한 정책이 담긴 가족계획을 발표했다. 대한가족계획협회를 설립하고 산아 제한 슬로건도 발표했다. 그 시절엔 달력 모양을 한 포스터도 자주 볼 수 있었다. 다산(多産)은 일제.. 중국과 북방선교 이야기/대한민국 1호 사건,사고 2011.01.04
[대한민국 제1호] 기록상 1949년, 살인범에 첫 사형 집행 "사형(死刑)이 우리의 문화수준이나 사회현실에 비추어 보아 지금 곧 이를 완전히 무효화시키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1996년 헌법재판소는 사형제에 대한 위헌심판 사건에서 합헌(合憲) 결정을 내리면서 이렇게 판시했다. 헌재가 사형제에 관해 내린 유일한 결론이다. 그러나 2007년 국제사면위원회는 .. 중국과 북방선교 이야기/대한민국 1호 사건,사고 2011.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