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회 교리/레지오교본해설 43

제12장 레지오의 외부적 목표 (72-80쪽 : 교본 제9장, 55-66쪽)|

레지오는 개인 성화라는 내적인 목표도 있지만 일상 생활 속에서 영혼 구원 사업과 활동이라는 외부적인 목표도 있다. 교본은 외부적인 목표로서 다음 4가지를 들고 있다 : 1.당면한 실제 활동, 2.멀고 큰 목표 - 사회 속의 누룩, 3.모든 사람을 함께 어울리게 하는 일, 4.하느님을 위한 고귀한 사업 1. 당..

제11장 레지오의 기본요소 (67-72쪽 ; 교본 제8장, 49-54쪽)|

교본은 레지오 마리애의 기본요소로서 개인성화, 강력한 질서 체계, 단원 자격의 완벽성, 단원의 으뜸가는 의무, 쁘레시디움의 주회를 들고 있다. 1. 개인성화(67-68쪽 ; 교본 49쪽) 레지오의 우선적인 목적은 개인 성화이고 궁극적인 목적은 하느님의 영광과 영혼들의 구원이다. 교본 본문에 의하면 "개..

제10장 레지오 사도직(59-67쪽 ; 교본 제6장, 24-36쪽)|

새 교본 10장은 레지오 마리애의 사도직을 다루고 있는데 다음 7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 1.레지오 사도직의 존엄성, 2.평신도 사도직의 필수성, 3.레지오와 평신도 사도직, 4.사제와 레지오, 5.본당에서의 레지오, 6.강렬한 이상과 행동은 레지오의 열매, 7.도제 제도에 의한 단원 양성 1. 레지오 사도직의 ..

제9장 레지오 단원과 그리스도의 신비체(51-58쪽 ; 교본 제31장, 229-239쪽)

'그리스도는 머리이고 신자들은 그 지체로서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신비로운 몸을 이룬다'는 그리스도의 신비체 교리는 레지오 마리애 창설의 밑바탕이 되고 레지오 봉사의 기초가 되는 교리이다. 프랭크 더프는 이미 1913년 10월에 빈첸시오회에 가입함으로써 이 교리를 터득했었다. 새 교본의 '레지..

제8장 레지오 단원과 성체(45-51쪽 ;교본 제30장 222-228쪽)|

성체성사는 예수께서 볼 수 없는 당신의 현존을 볼 수 있는 빵과 포도주를 통해 드러내시어 은총을 주시는 성사이다. 성체성사는 칠성사 중에 가장 큰 성사이며 "전례와 신자 생활의 중심"(전례 헌장 10항)이고 "선교활동 전체의 원천이요 정점"(사제 교령 5항)이다. 프랭크 더프는 성체성사의 의미와 중..

제7장 레지오 단원과 성삼위(41-45쪽 ; 교본 제29장, 216-221쪽)|

영성 생활의 목적은 성삼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성화를 통해 삼위일체 하느님과 일치를 이루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레지오 마리애에서는 인류 구원 계획에 따라 특히 성삼위와 마리아의 관계를 중요시한다. 왜냐하면 마리아는 성삼위의 각 위격과 독특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다. 교본 본문..

제6장 마리아께 대한 레지오 단원의 의무(25-41쪽 ; 교본 제27장, 170-192쪽)|

레지오는 마리아의 이름을 지닌 군대로서 창설 때부터 마리아와 굳게 결합하면 할수록 크게 성공하고 오래 지탱해 갈 수 있다는 것을 알고 마리아와 함께 악의 세력을 물리치면서 그리스도 왕국을 확장하고 하느님께 영광을 드렸다. 예수께서 이 세상을 차지하시는 데 쓰이는 가장 확실한 도구와 수..

제5장 레지오 신심의 개요(17-24쪽 ; 교본 5장, 14-23쪽)|

레지오의 신심은 레지오 기도문에 잘 나타나 있는데 그 내용은 하느님과 마리아에 집약되어 있다. 레지오는 하느님께 대한 믿음과 우리에 대한 하느님의 사랑을 중요시하면서 단원 자신의 성화와 이웃에 대한 봉사 활동이라는 두 가지 목적 사업에 하느님과 성모님이 늘 함께해 주신다는 인식을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