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장에서는 레지오의 기초 단위체인 쁘레시디움에 대해 다루고 있다. 쁘레시디움의 정의, 명칭, 설립, 주회, 영적지도자와 간부, 간부 임명 및 임기, 전속, 정직 및 제명, 협조 단원들과 소년 단원들 돌봄 등등 공지사항과 지켜야 할 사항을 알려 주고 있다.
1. 쁘레시디움의정의
레지오 마리애의 기초가 되는 단위체를 라틴어로 쁘레시디움(Praesidium)이라 부로며 약어로 Pr.이라 표기한다. 쁘레시디움의 복수를 쁘레시디아(Praesidia)라고 부른다. 이 라틴어는 옛 로마 군대에서 특별한 임무를 수행하는 파견대를 뜻했다. 곧 전방의 진지, 요새, 전위 방어 진지에 파견되는 한 분대를 의미했다.
그러므로 쁘레시디움이란 용어는 레지오 마리애의 '지단'을 가리키는 데 알맞는 말이다.
2. 쁘레시디움의 명칭 또는 호도
세계 최초의 쁘레시디움은 여성으로 구성되어 1921년 9월에 자비의 모후회(Our Lady of Mercy)라는 이름으로 조직되었고, 두번째에서 네번째까지 생긴 쁘레시디움의 명칭은 원제없으신 잉태(Immaculate Conception), 성모 성심(Our Lady of the Sacred Heart), 죄인들의 피난처(Refuge of Sinners)이며 세계 최초의 남성 쁘레시디움은 1929년 12월 샛별(Morning Star)이란 이름으로 조직되었다.
각 쁘레시디움의 명칭은 주로 '평화의 모후' , '사도들의 모후'처럼 성모님의 호칭을 따서 짓는다. 이외에도 '원제없으신 잉태' , '성모 승천' 처럼 성모님의 특전을 나타내거나 '성모의 엘리사벳 방문' 처럼 성모님의 행적을 가리키는 말로도 이름을 지을 수 있다. 그런데 가끔 쁘레시디움이나 꾸리아의 명칭을 잘못 짓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사도들의 모후' , '순교자들의 모후' 여야 하는데 단수를 사용하여 '사도의 모후' , '순교자의 모후' 로 짓는 경우이다. 이 경우 병자들, 죄인들, 신자들, 천사들, 예언자들, 증거자들, 동정녀들도 여기에 해당된다. 이들에겐 반드시 복수에다 모후를 붙여야 한다. 또 어떤 쁘레시디움은 성모님의 호칭인 '샛별'이나 '상아탑'에다 모후를 붙여 '샛별의 모후' , '상아탑의 모후' 로 사용하는데 이것도 잘못된 것이다. 성모님의 호칭들을 정확히 알려면 가톨릭 기도서의 '성모 호칭 기도'를 참조하기 바란다.
3. 쁘레시디움 설립 및 가입
쁘레시디움은 교본에 따라 관할 상급 평의회 또는 꼰칠리움의 정식 허가와 본당 신부나 교구장의 승인을 받아 설립한다. 설립할 때에는 창단식을 주관할 본당 신부나 교구장을 초빙해야 한다. 창단 식순은 일반적으로 쁘레시디움 주회 순서를 따른다. 그러나 본당에 첫 쁘레시디움을 창단할 경우 회합 시작에 앞서 레지오 제대 차림 앞에서 시작 성가, 독서, 복음 봉독, 보편 지향 기도, 성모께 드리는 봉헌문 합송, 간부 착좌 및 기록부 수여(단장 계획서, 훈화집, 부단장 출석부, 서기 회의록, 회계 금전 출납부 및 비빌주머니), 단원들 착좌 및 각 단원에게 교본, 수첩, 뗏세라 수여, 상급 평의회 대표 및 내빈 축사, 신설 쁘레시디움 단장 답사 등으로 창단 식순을 짜는 것도 좋을 것이다.
정식 절차를 밟아 설립한 각 쁘레시디움은 직접 또는 상급 평의회를 통해 레지오 세계 본부인 꼰칠리움에 정식으로 가입하게 된다. 본당 신부가 상급 평의회와의 상의나 허가없이 임의로 설립, 운영한다면 그 쁘레시디움은 레지오에 소속이 안된 단체가 된다. 그럴 경우 빠른 시일 내에 설립 사실을 상급평의회에 알려서 인가를 받아야 한다.
레지오는 단헌에 따라 쁘레또리움 단원으로 구성된 쁘레시디움(93쪽 참조 ; 교본 33장 1항, 259쪽 참조)이나 사회의 특별한 계층이나 집단에 한정된 특정인들 쁘레시디움(303쪽 참조 ; 교본 38장 26항, 387쪽 참조) 설립을 반대하고 규제한다. 한편 쁘레시디움 해체 문제에 있어서는 관할 교구장이나 본당 신부 또는 꼰칠리움에 그 권한이 있다(152쪽 참조 ; 교본 20장 1항, 115쪽 참조).
4. 주회
쁘레시디움은 정기적인 주회를 가져야 한다. 이 규칙은 어떠한 평의회도 변경할 권한이 없다. 매주 회합을 갖기가 어렵다면서 격주회나 월례회를 통해서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리라는 의견이 종종 제기될 것이다. 그래도 정기적인 주회를 가져야 한다. 왜냐하면 레지오 회합의 중요 목적은 단원들이 희생 정신을 가지고 매주 함께 모여 기도하고 공부하고 활동 보고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5. 쁘레시디움 간부 구성
쁘레시디움의 간부는 영적지도자와 단장, 부단장, 서기, 회계로 구성된다. 영적 지도자 외의 간부 4명은 꾸리아에 보내는 쁘레시디움의 대표자들이고 그 첫째 임무는 다른 모든 단원들의 모범이 되도록 통상 활동 의무를 채우는 것이다.
6. 영적 지도자의 임명과 권한
영적 지도자(Spiritual Director)는 본당의 주임신부나 교구장이 임명하고(교본 109쪽 참조), 임명권자의 뜻에 따라 임명 기간 동안 직무를 수행하며 한 쁘레시디움 이상을 지도할 수 있다. 영적 지도자는 회합에서 제기된 모든 종교적, 도덕적 문제에 관해서 결정하는 권한을 가지며 필요한 경우 회합 진행 전체에 대한 인정을 보류할 수가 있다.
영적 지도자가 회합에 참석할 수 없을 때에는 다른 사제나 수도자, 또는 '자격있는 레지오 단원' (Tribune ; 14장 9항, 85쪽 ; 교본 19장 9항, 109쪽 참조)을 대리자로 지정하여 참석시킬 수 있다.
7. 쁘레시디움 간부 임명
단장을 포함한 4명의 간부는 꾸리아에서 임명된다. 단, 그 지역에 꾸리아가 없을 때에는 그 위에 상급 평의회가 임명한다. 당사자들이 참석한 자리에서 간부 후보자에 대한 공개적인 논의는 금물이다. 간부 중에 결원이 생겼을 때에는 꾸리아 단장이 간부 후보자에 관해서 해당 쁘레시디움의 단장과 특히 영적 지도자에게 알아본 다음 가장 적절한 후보를 꾸리아에서 간부로 임명해야 한다. 그 쁘레시디움 안에서 적격자를 찾을 수 없는 경우에는 꾸리아가 다른 쁘레시디움에서라도 선발하여 임명한다. 수련기에 있는 단원은 간부 서리 또는임시 간부직만 맡을 수 있다. 그러나 수련 기간이 끝나면 정식 간부가 되며 수련기 동안의 간부직도 3년 임기의 일부로 간주된다.
8. 간부의 임기
영적 지도자를 제외한 모든 간부의 임기는 3년이며 재임할 수가 있다. 6년 임기를 마친 간부가 같은 직책을 맡으려면 퇴임 후 3년이 지나야 하며 다른 직책을 맡게 되면 새 임명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분단된 쁘레시디움의 경우에는 같은 직책일지라도 새로운 임명으로 간주한다. 3년의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간부직을 그만두면 그 직책을 떠난 날로서 3년 임기를 마친 것으로 간주한다. 레지오의 임기 제도는 수도 단체에서 하고 있는 방식을 도입한 것이다.
9. 단장의 임명
단장은 동료 단원들에게 모범을 보야야 하므로 단장의 임명은 신중히 다루어야 한다. 단장의 결함이 될 수 있으므로 결함있는 쁘레시디움을 개편할 경우에는 단장도 같이 바꾸는 것이 나을 것이다.
10. 단원의 전출
단원이 다른 쁘레시디움으로 옮겨가고자 할 때에는 소속 쁘레시디움 단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그는 새 단원의 입단 절아를 밟아야 하지만 1개월 이내에 전입 처리가 되었다면 수련이나 선서를 다시 할 필요가 없다. 단원의 전출 허가 요청이 있을 때 단장은 이유없이 거절해서는 안된다.
11. 단원의 자격 정지 및 제명
단원이 단헌을 습관적으로 어겨 단원 생활을 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면 꾸리아는 영적 지도자를 비롯한 다른 간부들과 상의하여 자격 정지 또는 제명을 할 수 있다. 쁘레시디움 단장도 단장의 자격을 정지할 권한을 가지나 제명권은 없다. 자격 정지란 한시적으로 주회 출석과 주간 활동을 중지시켜 근신하도록 하는 조치이고 제명이란 단원 직분을 박탈하는 조치로서 군대의 불명예 제대와 같다고 하겠다. 자격 정지 또는 제명을 당한 단원은 바로 위의 상급 평의회에 제소할 수 있으며 그 상급 평의회의 결정이 최종적인 것이 된다.
12. 협조 단원 모집과 돌봄
쁘레시디움이 협조 단원을 모집하여 돌보는 것은 본질적인 의무이다. 협조 단원은 레지오 조직의 일부이다. 쁘레시디움은 협조 단원 없이도 불완전하며 그 힘을 오래 발휘하지 못한다.
13. 소년 쁘레시디움 운영
성인 쁘레시디움은 소년 쁘레시디움을 운영하는 것을 그 조직 체계의 일부로 여겨야 한다. 두 사람의 성인 단원이 소년 쁘레시디움 간부(일반적으로 단장, 부단장)로 파견되어야 한다. 그들은 성인 꾸리아에서 소년 쁘레시디움을 대표한다. 단, 소년 꾸리아가 있을 경우엔 구 꾸라아에 대표로 나가게 된다. 소년 간부들은 성인 꾸리아에 참석할 수 없다.
'가톨릭 교회 교리 > 레지오교본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6장 일반행동 단원 이외의 단원 등급 (92-103쪽 ; 교본 제33장, 258-273쪽)| (0) | 2011.07.01 |
---|---|
제15장 레지오의 선서문 (90-92쪽 ; 교본 제11장, 71-73쪽)| (0) | 2011.07.01 |
제13장 단원의 자격 (80-83쪽 ; 교본 제10장, 67-70쪽)| (0) | 2011.07.01 |
제12장 레지오의 외부적 목표 (72-80쪽 : 교본 제9장, 55-66쪽)| (0) | 2011.07.01 |
제11장 레지오의 기본요소 (67-72쪽 ; 교본 제8장, 49-54쪽)| (0) | 2011.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