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화(책 소개)

질문에 대한 답

독서는 머리로 떠나는 여행, 여행은 몸으로 하는 독서 2013. 2. 25. 15:11

2013년 2월 22일 사순제1주일 금요일

그러면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 (마태16,15).

 

그러면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에 답하기 전에 너는 오늘 한번이라도 나를 생각이나 했느냐?”라는 질문에 답해보아야 할 것이다.

사제로서 그러면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는 질문에 예수님이 누구인지 충분하게 정확하게 대답할 수 있을 지라도 그런 예수님을 한번도 의식하지 않고 하루를 보낸적이 많았기 때문에 오늘 복음의 베드로처럼 예수님의 정체를 성령의 도우심으로 고백하면서도 동시에 인간적 나약함 때문에 예수님을 세 번이나 모른다는 부인을 하는 이중성을 소유한 동일한 인간이 나자신을 역시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

나는 주님의 기도에서 오늘 저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소서!라고 기도할 때 그 양식은 바로 엠마오스의 제자에게 주신 그날의 양식이라고 생각한다. 바로 성령이시다. 바로 하느님이시다. 그날 예수님은 말씀의 양식으로 제자들의 마음을 뜨겁게 해주셨다. 즉 신앙의불을 지피는 장작불을 피워주신것이고 또 빵을 떼어주심으로서 성목요일 마지막 만찬의 빠스카예식이 교회의 미사로서 성체성사로서 사랑의 잔치이며 가장 은혜로운 매일의 양식임을 경험케하셨다.

예수님을 그 누구로 알고 고백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예비자 교리를 하면서 모든 지원자들이 100% 세례를 받지 못한다. 처음에는 그것이 교리를 하는 나의 탓인가 자책하였다.

또 예비자들의 질문은 어떨땐 엉뚱하거나 그 질문조차 이해하기 어려울 때가 있었다.

예비자 봉사자들이 나에게 신부님 하느님의 자녀가 되는 특권은 하느님이 주시는 듯 합니다.”라고 말씀하셨다.

내가 사제이지만 하느님을 알려주시고 하느님께 이끌어 주시며 신앙을 뜨겁게 성장시켜 주시는 분은 그 어떤 인간이 아닌 하느님 자신이시다. 단지 나는 도구일 뿐이었다.

나는 사순시기가 부활시기에 앞선 교회의 중요한 전례시기임을 강조하면서도 동시에 사순시기는 부활이 만들어 낸 열매임을 강조하고 싶다. 제자들 그 누구도 사순시기를 보낸이가 없다. 교회가 부활을 통해 깨달은 것을 실천하기 위한 시기로 부활이후 정한 것이다. 마치 이스라엘백성이 40년간 광야체험을 하고 가나안 복지에 들어간 후 그 40년의 세월의 의미를 기리는 것처럼 말이다.

부활을 하신 예수님을 알아 보지 못한 제자들은 낙담하였고 엠마오스의 두제자도 그러하였다.

그날 엠마오스의 두제자가 예수님을 만나 예수님께 오히려 헛소리를 한다. 예수님께 예수님 이야기를 한다. 못알아본다. 그러나 그날 예수님은 그들에게 성서전반을 말씀하신면서 당신에 대해 이야기 해주신다. 말씀이신 그분이 말씀을 통해 그들의 신앙을 다시 불태우신다. 그리고 그들이 잡는다. 함께 머물러 주십사하고 우리는 주님께서 여러분과 함께 하는 그 말씀을 여기서 묵상해야 한다. 바로 주님께서 우리와 함께라는 기도는 이렇게 엠마오스의 두제자에게서 시작되었다. 바로 그 말씀을 통해 뜨거워져서 그분과 함께 있음을 느낄 때 말이다. 그리고 예수님은 빵을 떼어 주신다. 그러자 그들은 예수님을 비로소 알아본다. 이것이 바로 미사이다. 그리고 우리가 늘 추구하는 일용할 양식이다. 이렇듯 미사의 말씀과 영성체는 중요한 요소를 갖게된다. 바로 뜨거움! 그래서 함께 있고픈 마음으로 붙잡음 그리고 알아봄이다.

나는 한국 천주교회의 전례중에 부활성야 전례에 아쉬움을 하나 갖고 있다. 많은 본당에서 부활성야 전야 미사에서 말씀의 전례때 독서7개를 다 봉독하는 본당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그것이 대부분 시간상의 이유로 생략된다. 나는 오랜시간 수녀원에 있었다. 수녀원의 부활전례가 풍요로운 것은 장엄한 성가와 수녀원의 분위기도 한몫하였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부활성야 전야때 7개의 독서를 모두 봉독함으로써 부활의 사건을 창세기서부터의 구원사를 조화롭게 연결하여 깨닫게 하는 열매를 부활전야때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부활성야 전야 미사때 장엄한 성가를 봉헌하는 것 그리고 미사가 끝나고 수고한 사람들에게 박수를 치는 것 그리고 미사후에 음식을 나누는 것 모두 좋은 요소들이지만 그것이 가장 중요한 말씀들을 생략하는 이유로 작용한다면 주객이 전도된 것임에 틀림없다.

'예화(책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전(完全)  (0) 2013.02.25
사랑  (0) 2013.02.25
프란치스코 저는  (0) 2013.02.16
나자렛 예수  (0) 2013.01.15
미국에 재즈 문화를 뿌리 내린 주역은 갱스터  (0) 2012.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