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무드의 머리 / '학자' 외 7 10. 학자 유태인은 모든 재산을 팔아서라도 딸을 학자와 혼인시키는 것은 좋은 일이고, 학자의 딸을 맞기 위해서는 모든 재산을 잃어도 좋다고 생각하였다. 11. '7'의 숫자 유태인에게 '7'이라는 숫자는 매우 중요하다. 첫째, 1주일 중에는 7일째에 안식일이 온다. 또한 7년째 해에는 밭을 갈지 않고 묵혀 .. 탈무드 이야기 2010.08.07
탈무드의 머리 / '애정의 힘' 외 8 1. 애정의 힘 세상에는 열두가지 종류의 강력한 것들이 있다. 먼저 돌을 강한 것으로 꼽을 수 있으나 그 돌은 쇠에 깎이고 만다. 그러나 이 쇠도 불에 녹고, 불은 또한 물로 꺼버려 그 힘을 누를 수 있다. 하지만 이 막강한 물은 구름에 흡수되며, 물을 흡수한 구름은 바람이 불면 흩어지거나 날라 사라진.. 탈무드 이야기 2010.08.07
탈무드의 손 / '부부간의 싸움' 외 9 11. 부부간의 싸움 수많은 사람들이 갖가지 문제들을 안고 와 나에게 판단해 달라고 부탁한다. 이런 문제들은 수없이 많지만 그 가운데 난 한가지도 같은 것이 없다. 같은 점이 있다면 어느 사람이 허위로 말하고 있는지, 아니면 자신조차도 거짓이라는 것을 모르고 말하고 있는지를 어떻게 분별해야 .. 탈무드 이야기 2010.08.07
탈무드의 손 / '형제애' 외 9 01. 형제애 두 형제가 언쟁을 벌이고 있었다. 두 사람중 어느쪽 의견이 옳고 그른가를 따지는 다툼이 아니라, 돌아가신 어머니의 유언 때문에 일어난 싸움이었다. 어머니의 유언을 해석해 보면 제각기 일리가 있었다. 두 형제는 어릴 때부터 전쟁 때문에 독일, 러시아, 시베리아, 만주 등 이곳저곳을 정.. 탈무드 이야기 2010.08.07
탈무드의 발 / ''랍비의 직업 05. 랍비의 직업 과거 로마인들이 유태민족을 억압하던 시절, 그들은 유태인을 말살하기 위한 갖가지 방법을 생각해 냈다. 이를테면, 유태인 학교를 폐쇄시키고, 예배와 민족적인 축제를 금하고, 유태인의 지혜를 깨우쳐 주는 책을 불태우고, 랍비의 교육까지도 금하였다. 랍비가 정해진 교육을 마치면.. 탈무드 이야기 2010.08.07
탈무드의 발 / '수난의 탈무드' 외 3 01. 수난의 탈무드 <탈무드>의 편찬은 바빌로니아에서 기원후 500년부터 시작되었다. 그후 1334년에 손으로 직접 쓴<탈무드>가 나왔는데, 이것이 현존하고 있는 것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 그리고 처음 인쇄된 <탈무드>는 1520년 베니스에서 나왔다. 1244년엔느 파리에 있던 모든 <탈무.. 탈무드 이야기 2010.08.07
유대인의 격언 / '돈의 가치' 두툼한 돈지갑이 반드시 좋다고는 할 수 없지만, 그렇다고 빈지갑이 좋은 것도 아니다. 텅비어 있는 것인데도 이 세상에서 제일 무거운 것은 무엇인가?그것은 빈 돈지갑이다. 물건이 가득 들어 있는 주머니는 무겁다. 그러나 비어 있는 주머니가 더 무겁다는 속담도 있다. 유태인들 사회에는 돈(금전).. 탈무드 이야기 2010.08.07
유대인의 격언 / '금전과 속담‘ * 현금은 가장 능력있는 중개인이다. * 좋은 수입만큼 좋은 약은 없다. * 지식을 지나치게 많이 쌓은 사람은 늙지만, 돈을 지나치게 많이 가진 사람은 젊어진다. * 돈을 갖지 못한 사람은 그 돈이 매우 귀중해 보인다. * 돈은 어떤 닫힌 문이라도 척척 열 수 있는 황금열쇠이다. * 인간에게 필요한 것은 의... 탈무드 이야기 2010.08.07
교육에 관한 유대인의 격언 49가지 01. 체중은 그 무게를 잴 수 있으나, 지성의 무게는 잴 수가 없다. 지성에는 한계가 없기 때문이다. 02. 어떤 현인이 '어떻게 현인이 되었느냐'는 질문을 받고, 대답하기를 '식용유에 보다도 등유에다 더 많은 돈을 썼기 때문'이라고 답하였다. 03. 사람은 책을 통해 가장 많은 지헤를 얻게 된다. 04. 사람에 .. 탈무드 이야기 2010.08.07
교육의 길에 대한 유대인의 격언 12가지 (21) 13. 자기 결점을 쉽게 고치지 못하더라도 자기 향상을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야 한다. 유태 민족이 즐겨 읽는 고전 가운데 하나인 <미드라쉬>에 보면, "선한 곳에는 반드시 조그마한 악이 있다'는 말이 있다. 인간이란 신이 아니기 때문에 완벽한 현자가 될 수는 없다. 그렇다고 해서 자기를 발전시켜.. 탈무드 이야기 2010.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