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용어(12) '스카풀라' 개인적 신심을 위해 두개의 작은 모직 조각을 끈으로 이은 스카풀라를 몸에 지니고 다니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원래 스카풀라는 베네딕도회 수도자들이 일할 때 수도복 위에 입는 앞치마에서 시작됐다. 이는 노동하는 수도자를 표시하거나 상징했기 때문에, 점차 여러 수도회에서 스카.. 영혼의 샘 2009.01.16
교회용어(11) "수도복" 교회법에 따르면 "수도자들은 자기의 축성의 표지와 청빈의 증거로서 고유법의 규범에 따라 정해진 수도복을 입어야 한다"(669조 1항)고 규정돼 있다. 즉 수도복은 수도자라는 신분과 소속 수도회를 드러내며, 중대한 이유로 상급 장상이나 지역 장상의 면제를 받지 않는 한 어디서나 입어야 .. 영혼의 샘 2009.01.16
교회용어(10) 부활 찬송(Exultet) 기쁨에 찬 감사로써 부활선포하는 찬가 예수 부활 대축일 하루 전인 4월 14일, 전국 각 본당에서는 부활 성야미사가 봉헌된다. 부활 성야 예식은 제1부 빛의 예식, 제2부 말씀의 전례, 제3부 세례 예식, 제4부 성찬 전례로 나눠진다. '부활 찬송(Exultet)'은 제1부 빛의 예식 때 불려진다. 부.. 영혼의 샘 2009.01.16
교회용어(9) ”성지주일” -주님의 개선과 수난 선포 십자가상 성지보관 의미없어- 주님수난 성지주일부터 부활대축일 전까지인 성주간은 1년 중 가장 중요하고 거룩하게 보내야 할 시기다. 성주간의 시작인 성지주일은 예수께서 빠스카의 신비를 완성하시려 예수살렘에 입성한 것을 기념하는 주일로 왕으로 오.. 영혼의 샘 2009.01.16
교회용어(8) 금가항과 김가항(金家巷) 최근 철거문제로 교회 안팎에서 커다란 관심을 불러모으고 있는 중국 상해의 금가항(金家巷)성당은 한국교회의 첫 사제인 성 김대건 신부가 1845년 8월 17일 사제품을 받은 유서 깊은 곳이다. 중국교회 동부지역 복음화의 산실임과 아울러 한국교회와도 적잖은 인연을 간직하.. 영혼의 샘 2009.01.16
교회용어(7) 사도좌 정기방문 교황에 순종한다는 의미 교구 현황 보고서 제출 한국 주교단은 3월 19일부터 24일까지 사도좌를 공식 방문하게 된다. '사도좌' 는 가톨릭 교회의 법률적.사목적 최고 권위의 주체를 뜻하는 용어. 즉 사도들의 으뜸인 베드로의 사도직이 계승되는 교황을 의미하고 있다. 또 사도좌는 세.. 영혼의 샘 2009.01.16
교회용어(6) “‘40일’계산법” 중대한 사건 준비하는 기간 니체아 공의회 이후 정해져 사순절은 재의 수요일부터 부활대축일 전 성토요일까지 40일간을 말한다. 사순절은 본래 제40일을 의미하는 라틴어 Quadragesima를 번역한 것으로 성서에서도 40일은 중대한 사건을 준비하는 기간 으로 상징된다. 노아의 홍수, 모.. 영혼의 샘 2009.01.16
교회용어(5) 의무대축일 1월 1일 꼭 미사참례해야 1년을 주기로 구원사에 있어 특별히 중요한 신비와 신심 그리고 전통에 따라 교회 전례력이 짜여진다. 따라서 어느 것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겠으나 예수와 성모 마리아, 성인들을 기념하기 위해 교회가 특별히 제정한 날을 대축일이라 한다. 그러나 대축일이.. 영혼의 샘 2009.01.16
교회 용어(4) 성탄 팔부 성탄 대축일 부터 8일 의미 팔부란 축일 분위기가 지속되는 8일간(대축일로부터 만7일)을 뜻하는 것으로 원래 7세기까지 예수 부활 대축일에만 국한돼 있었으나 신영세자들을 교육시키기 위해 많은 축일 뒤에 팔부가 따르기도 했다. 하지만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부활과 성탄대축일에만 .. 영혼의 샘 2009.01.16
교회 용어(3) 가 .나 . 다 해 주요 성서 대부분 봉독위해 우리는 전례력으로 2001년 다해를 맞아 루가 복음서를 주로 봉독 하고 있다. 이렇게 가해, 나해, 다해 3년을 구분해 독서를 봉독하는 가장 큰 이유는 성서의 주요부분을 대부분 봉독할 수 있기 때문. 교회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말씀의 전례를 강조, 전례.. 영혼의 샘 2009.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