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 381년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가 개최된 성 이레네 성당. 장방형 십자가 형태의 이레네 성당은 4세기 초까지 아프로디테의 신전이었다가 성당으로 개조했다. 기 간 : 381. 5 - 7. / 다마소 1세 교황(366-384) 배 경 반(半)아리우스파는 동질(homousios)를 유사(homoios)로 해석하려하였고 성.. 가톨릭 교회 교리/공의회 역사 2016.03.05
제1차 니체아 공의회 기 간 : 325. 5. 20 ∼ 7. 25(?) / 실베스텔 1세 교황(314∼335) 배 경 323년 가을, 콘스탄틴 대제가 리치니우스를 물리치고 로마제국의 유일한 황제가 된 후, 그는 알렉산드리아에서 몇 년전에 일어난 아리우스파가 동방의 많은 지방에 침투하여 확산되고 있는 심각한 문제를 알게되었다. 즉 성자.. 가톨릭 교회 교리/공의회 역사 2016.03.05
공의회란 공의회란조회수 | 1,204작성일 | 10.07.30 개 념 신앙, 윤리, 규범 등 종교적인 문제를 다루는 주교들의 회합, 콘칠리움(concilium)이란 용어는 교회 밖에서는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그리스도교에서는 주교들의 회합, 그러한 회합이 이루어지는 장소를 지칭한다. 시노두스도 세계 공의회.. 가톨릭 교회 교리/공의회 역사 2016.03.05
[교회사 속 세계공의회](16) 제2차 니케아 공의회(하)| [교회사 속 세계공의회](16) 제2차 니케아 공의회(하) '성화상 공경' 교회전통 확고히 ▲ 니케아 성 소피아 성당에서 개최된 제2차 니케아 공의회 모습. 가톨릭대사전 자료사진 개최와 과정 니케아는 462년 전인 325년에 성자 예수 그리스도가 참 하느님이 아니라고 하는 아리우스 이설을 단죄하기 위.. 가톨릭 교회 교리/공의회 역사 2011.07.01
[교회사 속 세계공의회](15) 제2차 니케아 공의회(787년)<상> [교회사 속 세계공의회](15) 제2차 니케아 공의회(787년)<상> '성화상 공경' 논쟁 불식시키려 ▲ 시나이산 성녀 가타리나 수도원에 소장돼 있는 6세기 작품 성 베드로 성화상. 배경 787년에 개최된 제2차 니케아 공의회는 이른바 '성화상 논쟁'을 종식시키고자 소집된 공의회였습니다. '성화상'.. 가톨릭 교회 교리/공의회 역사 2011.07.01
[ 교회사 속 세계 공의회](14)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680~681년)(하)| [ 교회사 속 세계 공의회](14)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680~681년)(하) 갈등의 마침표, 정통교리 수호 ▲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소집 당시 교황이었던 성 아가토(재위 678~681, 왼쪽) 교황과 공의회 결과를 추인한 성 레오 2세(재위 682~683) 교황. 배경 ◇성 마르티노 1세 교황과 고백자 성 막시모 .. 가톨릭 교회 교리/공의회 역사 2011.07.01
[교회사 속 세계공의회] (13)제3차 콘스탄티노플 공의회(상) 교회사 속 세계공의회] (13)제3차 콘스탄티노플 공의회(상) 단의설 퍼지면서 끊임없는 갈등만이 ◇단의설의 득세와 교황 호노리오 1세 451년 칼케돈 공의회가 '한 위격(인격) 안의 두 본성' 교리를 통해 단성설을 배격한 이후 단성설이 득세하던 이집트와 시리아 등지에서는 단성설파의 독자적 세.. 가톨릭 교회 교리/공의회 역사 2011.07.01
[교회사 속 세계공의회](12) 제2차콘스탄티노폴리스공의회(하) [교회사 속 세계공의회](12) 제2차콘스탄티노폴리스공의회(하) 이전 공의회 교리선언 재언명 ▲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가 열린 성 소피아 성당 내부. 대부분 동방 주교 참석, 14개 항 단죄 조항 채택 유스티니아 황제 주도, 비질리오 교황은 승인만 삼위일체 등 이전 공의회 선언들 다시 분명.. 가톨릭 교회 교리/공의회 역사 2011.07.01
교회사 속 세계공의회 (8)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상)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상) 갈등의 불씨 안고 있던 단성설, 점화 ■ 배경 ◇단성설의 득세와 '일치령' 451년 칼케돈 공의회가 확정한 '한 위격 안의 두 본성' 교리는 예수의 인간성을 강조한 나머지 하느님 예수와 인간 예수가 별도로 존재하는 것처럼 주장하는 네스토리우스주의와 그 반대.. 가톨릭 교회 교리/공의회 역사 2011.07.01
[스크랩] "[교회사 속 세계공의회] (7) 에페소 공의회(하)(431년)" "[교회사 속 세계공의회] (7) 에페소 공의회(하)(431년)" 마리아를 '하느님의 어머니'로 인정 ▨ 공의회 소집과 진행 과정 동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는 430년 11월 19일 제국내 모든 관구장 대주교들에게 회람을 보내 431년 성령 강림 대축일(6월 7일)에 에페소에서 공의회를 소집한다고 통보했습니다. .. 가톨릭 교회 교리/공의회 역사 2011.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