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북방선교 이야기/대한민국1호, 사물 장소 15

[대한민국 제1호] 지폐

6·25전쟁 중 연합군 도움으로 日서 찍어 대한민국 1호 지폐는 6·25 전쟁 와중에 세상의 빛을 봤다. 우리나라의 유일한 법정 화폐인 한국은행권을 발행하는 한국은행은 1950년 6월 12일 설립됐다. 하지만 지폐를 발행해 보지도 못한 채 창립 13일 만에 6·25 전쟁을 맞았다. 그 당시 우리나라 시중에서는 일..

[대한민국 제1호] 우표

비둘기 무궁화로 장식된 정부수립 기념우표 "각국과 통상을 한 이후로 안팎으로 관계되는 일이 날로 증가하고 나라의 무역에 대한 소식이 그에 따라서 늘어나고 있다.(중략) 그래서 우정총국(郵征總局)을 설립하도록 명하니…."(고종실록) 우리나라 근대우편의 시작은 1884년 4월 22일 고종이 이 같은 칙..

[대한민국 제1호] 대통령 전용기

이승만 대통령때 C-47 수송기 첫 이용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기는 군용기로부터 시작됐다. 한국전쟁 기간 중 이승만 대통령이 전용기로 잠시 이용했던 C-47 다코다 수송기가 '대통령 전용기 1호'였다. 이후 정부는 1954년 3월 24일 주한미군으로부터 L-26 에어로 코맨더(Aero Commander)기 3대를 넘겨받아 대통령 ..

[대한민국 제1호] 선풍기·에어컨

국산 선풍기 1호 전력 사정으로 단종 1960년 3월 여름을 서너 달 앞두고 우리나라 자체 기술로 만든 최초의 선풍기가 우리 국민에게 선을 보였다. 금성사(현 LG전자)가 내놓은 'D-301'<왼쪽 사진>이었다. 금성사는 금형과 모터를 개발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선풍기 설계에 착수한 지 2개월 만에 첫 선풍..

[대한민국 제1호] 철도

한강 홍수로 경인선 개통 1년 늦어져우리나라 최초의 철도는 경인선이다. 1897년 인천 우각현(牛角峴)에서 공사를 시작해 1899년 제물포~노량진 노선을, 1900년 노량진~서대문 노선을 완공했다. 1896년(고종 33년) 미국인 J.R.모스가 부설권을 얻어 1897년 3월 29일 공사를 시작했으나 자금부족으로 중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