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전(反轉)
어느 대학의 교수가 강의 중에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이 물었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하느님이 창조하였는가?"
한 학생이 용감하게 큰소리로 대답하였다.
"예, 그렇습니다!"
교수가 다시 물었다. "하느님이 모든 것을 창조하셨는가?"
학생이 대답했다. "그렇습니다, 교수님."
교수가 말했다.
"만약 하느님이 이 세상의 모든 것을 창조하셨다면 악(惡,evil)도 존재하므로 하느님은 악도 창조하셨네. 그리고 우리의 성과(work)가 우리가 누군지를 규정짓는다는 원리에 근거 한다면 하느님은 악(惡)이다."
학생은 이 말에 조용해졌다.
교수는 스스로에게 대단히 만족해 하며 학생들에게 하느님을 믿는 신앙은 미신임을 다시 한 번 증명했다며 으쓱해 했다.
그때 구석자리에 있던 한 학생이 손을 들고 말했다.
"교수님, 질문을 해도 되겠습니까?"
"물론이지." 하고 교수가 말했다.
그 학생이 일어서서 물었다. "교수님, 추위가 존재합니까?"
"무슨 질문이 그런가? 당연히 추위가 존재하지.
자넨 추운 적 없는가?" 교수가 말했다.
다른 학생들은 그 학생의 생뚱맞은 질문에 킬킬거렸다.
그 학생이 말했다. "사실은 교수님, 추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추위라고 간주하는 것은 실상은 '열의 부재'입니다.
물리학을 조금만 공부한 사람이면 누구나 어떤 물질이 에너지를 전달할 때의 현상을 통해 이것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절대 0도(섭씨 -2730도)는 '열의 완전한 부재'입니다.
그 온도에서는 모든 것이 반응할 수 없거나 쓸모없어집니다. 추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 단어는 열이 없을 때 우리가 어떻게 느끼는지를 묘사하기 위해 인간이 창조한 것입니다."
그 학생은 계속했다. "교수님, 어두움이 존재합니까?"
교수가 대답했다. "물론 존재하지."
그 학생이 대답했다.
"또 한 번 교수님이 틀리셨습니다. 어두움 역시 존재하지 않습니다. 어두움은,
정확하게는 '빛의 부재'입니다.
우리는 빛을 연구할 수 있지만 어두움은 그렇지 못합니다.
사실, 뉴튼의 프리즘을 이용하여 흰 불빛을 여러 색으로 나누고 각 빛깔의 다양한 파장을 연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두움을 측정할 수는 없습니다.
간단한 한 줄기 빛으로도 어두움을 깨고 빛을 발할 수 있습니다.
어떤 장소가 얼마나 어두운지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빛의 양을 측정해서 알 수 있을 뿐입니다. 이것이 옳지 않습니까?
어두움은 '빛의 부재'를 묘사하기 위해 인간이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마침내 그 학생은 교수에게 물었다. "교수님, 악(惡)이 존재합니까?"
이제 교수는 완전히 확신하지는 못한 상태에서 대답했다.
"물론이지. 이미 말한 대로야. 우리는 매일 보지 않는가?
악은, 매일 일상에서 보는 인간의 잔인함 속에 존재하며, 세상 곳곳의 각종 범죄와 폭력 안에도 존재하네.
이런 극악무도한 현상들을 악(惡) 이외에 무엇으로 설명하겠는가?"
이에 학생이 대답했다.
"교수님, 악(惡)은 존재하지 않거나 적어도 스스로 존재하진 않습니다. 악은 단순히 '하느님의 부재'입니다.
마치 추위와 어두움처럼 '하느님의 부재'를 묘사하기 위해 인간이 만들어낸 단어일 뿐입니다.
하느님은 악(惡)을 창조하지 않으셨습니다.
열이나 빛 같은 믿음, 사랑은 악과는 다릅니다.
악은 인간의 마음에 하느님의 사랑이 없을 때 벌어지는 결과입니다.
이것은 마치 열이 없을 때 추위가 오고 빛이 없을 때 어두움이 오는 것과 같습니다."
교수는 주저앉았다.
그 학생의 이름은 앨버트 아인슈타인이었다.
'영혼의 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혜의 눈 (0) | 2019.01.27 |
---|---|
너무 바쁜 사람과는 친구하지 마라- (0) | 2018.12.12 |
思索의 時間 (0) | 2018.05.25 |
프란치스코 교황 (0) | 2018.01.15 |
우리는 매일 기적 속에 살고 있어요 (0) | 2014.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