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감정 표현에 따른 웃음
(1) 긍정적인 웃음
◉ 폭소(爆笑) - 갑자기 터져나오는 기쁨 또는 감탄의 소리로, 매우 폭발적이고 쾌활하게 웃는 것
◉ 교소(巧笑) - 귀여운 표정으로 귀엄성을 내포하여 웃는 것
◉ 미소(微笑) - 윗입술과 아랫입술을 닿을 듯 말듯 벌린 채 소리 없이 빙긋이 웃는 것
◉ 홍소(哄笑) - 입을 크게 벌리고 떠들썩하게 웃는 것
◉ 대소(大笑) - 크게 소리 내어 웃는 것
◉ 치소(恥笑) - 부끄러워서 웃는 것
(2) 부정적인 웃음
◉ 가소(假笑) - 어이없거나 남을 무시하며 가소로워서 웃는 것
◉ 경소(輕笑) - 남을 업신여겨 웃는 것
◉ 냉소(冷笑) - 쌀쌀한 태도로 비웃으며 웃는 것
◉ 간소(奸笑) - 간교하게 웃는 것
◉ 검소(劍笑) - 칼날같이 날카롭게 웃는 것
◉ 치소(媸笑) - 빈정거리며 웃는 것
2) 안면 근육의 움직임에 따른 웃음
(1) 실제 웃음
즐거운 감정 상태를 동반한 실제적 웃음이 터지는 것으로, 어린아이의 천진난만한 웃음 등이 이에 속한다.
(2) 억지 웃음
즐거운 감정 상태는 아니나, 특정한 감정표현을 흉내내면 몸도 어느새 거기에 따르는 생리적 변화가 일어나며, 억지로라도 웃게 되면 실제 웃음에 가까운 웃음을 만들어 낸다. 즉 나의 즐거운 행동이 즐거운 감정을 만들어 내게 되는 것이다.
(3) 가짜 웃음
실제의 웃음은 눈가의 주름(까마귀 발주름)을 만들지만, 가짜 웃음은 쉽게 만들어지지 않는다. 일면 플라스틱 웃음이라고도 한다(프랑스 의사 기욤 뒤센)
남을 비웃는 웃음이나 검소, 냉소 등 건강을 해치는 웃음을 가짜 웃음이라고 한다.
(4) 화학적 웃음
대마, 모르핀, 히로뽕, 마리화나, 헤로인, 코데인, 에페드린 등 마약성분이나 향정신성의약품종독자, 알코올중독자 등은 실제 웃고 싶지 않은 상태에서도 뇌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변화에 의해 화학적 웃음이 생겨난다.
3) 몸동작의 크기에 따른 웃음
몸동작에 크면 클수록 큰 웃음소리가 나며, 몸동작의 움직임이 작아지면 자연스럽게 웃음소리가 작아진다. 즉 자신의 행동(몸의 움직임)이 마음을 나타낸다. 박장대소를 할 때는 크게 박수를 치면서 웃게 되는데, 이때 큰 웃음소리가 나온다.
(1) 큰 웃음
일반적으로 몸동작이 앞뒤로 흔들리거나 팔의 움직임이 클수록 큰 소리가 나온다. 큰 소리로 웃게 되면 자연스럽게 몸동작이 크게 움직이게 된다. 특히 어른이나 중풍, 치매, 재활환자의 웃음치료에서는 큰 동작이 필수이다. 큰 동작이 주어질 때 어느 정도 의도된 웃음이 나온다.
'하하! 호호! 웃음은 명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같이 따라 불러봐요~ ( 행복해요 ㅡ 추가열 ) (0) | 2011.06.22 |
---|---|
[스크랩] 밥상위에 아내의 편지 (0) | 2011.05.06 |
[스크랩] 건배사모음 (0) | 2010.11.30 |
충청도식 영어 (0) | 2010.09.12 |
[스크랩] 수녀와의 키스 (0) | 2010.09.12 |